SHM System


시스템 운영
-
건물, 교량, 옹벽, 절개지, 축대, 터널 등의 위험시설에 시설안전을 위한 모듈화 계측시스템을 부착
-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기울기나 진동 등과 같은 변화량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
-
전송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대책마련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 설치한 SHMS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 설치한 SHMS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FSHM100

-
지진이나, 폭설 등 자연재해에 따른 시설(건축)물의 위험감지 경보
-
절개지, 급경사지, 축대, 옹벽 등의 위험감지 경보
-
지하 시설물 공사, 터파기 공사 등에 따른 건축물 안전 모니터링
-
시설물의 각종 외부 충격이나 변화에 따른 안전 모니터링
-
건축물의 변형, 변위, 시설물 관리를 위한 센서 모니터링 기기
LVDT변형측정기 / 변위측정기


-
LVDT를 이용한 변형량측정기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공동특허 진행중)
-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변위측정기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공동특허 진행중)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
붕괴위험 급경사지 지반의 침하·활동·전도 및 붕괴 등으로 위치변화를 사전에 감지하여,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히 지역주민을 대피시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급경사지를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
-
상시계측관리 계측데이터분석을 통한 붕괴위험지역의 재해예방사업 투자우선순위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제공이 가능하고 안전관리를 위한 점검예산 절감이 가능함
-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및 사면붕괴 등을 조기에 예·경보함으로 위험사면에 대한 적절한 대책수립과 붕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
-
잠재적인 붕괴 징후나 장기적인 지반 변위 양상을 실시간으로 계측함으로써 붕괴 발생 이전에 차량 이동의 차단, 인명대피 등에 의한 응급조치를 위하여 위험 비탈면 붕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
-
붕괴위험 급경사지 정비사업 추진 긴급성(주민 불편해소), 효율성(비용편익비), 위험성(인명손실) 등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 설치한 급경사지모니터링 시스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 설치한 급경사지모니터링 시스템
레이저 빔을 이용한 급경사지 계측기 FLEM100

급경사지 사면에 레이저 빔 발생기를 설치하고 부동점에 레이저 빔의 이동을 확인 할 수 있는 표적과 읽는 장치를 설치하여 레이저 포인트의 변화를 확인하여 지표면의 변화를 측정하는 장치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공동특허 진행중)
CC카메라를 이용한 급경사지 계측기 FCEM100B

급경사지 사면을 확인 할 수 있는 고정시설물에 카메라(CC카메라)를 설치하고 급경사지 사면에 고정된 포인트를 설치 한 후 급경사지 사면에 설치된 포인트의 이동양을 측정하여 지표면의 변화를 측정하는 장치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공동특허 진행중)
급경사지 계측을 위한 지표경사계 FSSM100

MEMS방식의 센서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표경사계로 지중의 변위량을 측정하고, 데이터 로거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여 지중의 변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공동특허 진행중)
급경사지 계측을 위한 지중경사계 FUSM100

MEMS방식의 센서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중경사계로 지중의 변위량을 측정하고, 데이터 로거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여 지중의 변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공동특허 진행중)
기타 급경사지 모니터링을 위한 추가 장비 및 센서류가 개발중에 있으며 자세한 사항에 대하여는 문의바랍니다.